Copyright 2019 unigeo.kr All Rights Reserved
2015.09.24 09:05
제가 전에 소개한 <지리사상사> 에 관한 글입니다. 아직 읽고 있지만, 아주 좋은 책이다라는 생각이
계속 듭니다. 꼭 읽어보셔요. 아래 내용은 제가 카페와 페이스북에 올린 간단한 페이퍼입니다.
------------------------------------------------------------------------------------------
읽으며 참 원저자가 어려운 내용을 쉽고 논리적으로 글쓰기를 했다라는 생각과 그에 맞게
번역도 깔끔하게 된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뭐 제가 번역을 논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지만. 그래도 내용에 비해 잘 읽힙니다.)
팀 크레스웰의 <지리사상사>를 읽으며 새삼 지리학사와 지리철학의 중요성을 느끼고, 아주 재밌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3장 '근대지리학의 출현'에서 공간에 대한 칸트의 철학과 생각을 서술한 부분이 있는데, 참고 문헌을 보니 Stuart Elden의 <Reading Kant's Geography> 이란 책도 있고, 같은 저자의 Reassessing Kant's geography란 논문도 있네요. 참 누가 이런것 번역 좀 해주었으면...아니면 자고 읽어났는데 내 영어 실력이 화아악~하고 높아져 쉽게 읽을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나...ㅠㅠ
혹 영어 좀 잘 하시는분?ㅋㅋ
찾다보니 Crampton이란 캔터키 대학의 지리학 교수의 <Space, Knowledge and Power>란 책도 관심이 갑니다. 부제가 'Foucault and Geography'입니다. 며칠 전 임동근 박사님의 특강을 들으면 이 세상이 돌아가고 한 지역이 도시가 움직이기 위해서는 수 많은 '장치'가 필요하며, 그 장치들은 '통치'와 '권력'을 통해 움직인다는 부분이 귀에 남습니다. 크램턴 교수의 책은 아마 이런 부분에 대한 책일 것 같은데...영어도 못하면서 관심만 많네요...못먹는 떡이 더 맛나게 보이는법!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757 | 『중공업 가족의 유토피아』 독서일기 두번째 | 햇빛눈물 | 2019.08.29 | 64 |
756 | 독서일기_양승훈의『중공업 가족의 유토피아』읽기 첫번째 | 햇빛눈물 | 2019.08.09 | 166 |
755 | 독서일기_솔로몬 볼코프의『증언』읽기 첫번째 | 햇빛눈물 | 2019.07.22 | 173 |
754 | 독서일기_김현의 『사라짐, 맺힘』읽기 첫번째 | 햇빛눈물 | 2019.07.19 | 81 |
753 |
획일적인 여행이 아닌 깊이 있는 여행을 떠나고 싶다면...
![]() | 관리자 | 2019.06.17 | 168 |
752 |
아이 갖기를 주저하는 사회 소개
[2] ![]() | 햇빛눈물 | 2018.11.02 | 612 |
751 |
2015 교육과정 통합사회와 관련 교양서적
[2] ![]() | 햇빛눈물 | 2018.03.23 | 1022 |
750 |
우연히 헌책방에서 집어든 한국의과학사에 대한 책 한 권
![]() | 햇빛눈물 | 2017.07.21 | 673 |
749 |
지리레시피
![]() | 관리자 | 2015.11.26 | 2202 |
» |
팀 크레스웰의 <지리사상사> 제3장 근대지리학의 출현을 읽고.
![]() | 햇빛눈물 | 2015.09.24 | 1176 |
747 |
좋은 지리 책 한권
![]() | 햇빛눈물 | 2015.09.21 | 1295 |
746 | 지리를 모르면 국가가 없다 | 조성호 | 2015.09.16 | 1044 |
745 |
오랜만에 책 소개 글을 쓰는데, 지리 책이 아닌 시집입니다.
![]() | 햇빛눈물 | 2015.09.10 | 925 |
744 |
네셔널지오그래픽 '세계지리교과서'
![]() | 관리자 | 2012.08.24 | 19415 |
743 | 인정,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고, 쓰여지지 않은 공간을 발견하다 | 햇빛눈물 | 2012.04.18 | 279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