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lsechang@gmail.com
Copyright 2019 unigeo.kr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 2019 unigeo.kr All Rights Reserved
2009.07.30 01:22
이름 | 언제나 | (조회수:151) |
첨부파일 | 1155.bmp | |
(2008-01-04 00:00:01) ![]() 독도는 ‘석유 제로’중앙일보기사입력 2008-01-04 04:21 최종수정2008-01-04 07:21 산업자원부는 독도에 태양광과 풍력 등 총 110㎾ 규모의 청정 발전시설을 연내 세우기로 하고 이를 위한 문화재 현상변경 심의를 2일 행정전산망을 통해 경북 울릉군에 신청했다. 독도는 1982년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돼 독도 내 시설물 설치를 위해선 문화재보호법상 해당 지방자치단체를 거쳐 문화재위원회의 심의절차를 밟도록 돼 있다. 문화재청은 문화재위원회(천연기념물분과)에 이 안건을 23일 상정할 계획이다. 산자부는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통과하면 연말까지 발전시설을 설치하기로 했다. 산자부는 28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 정부는 이에 앞서 독도의 친환경 에너지 발전시설 건립을 위해 지난해 해양수산부와 환경부 경찰청 등 관련 부처의 협의를 마쳤으며 지난해 10월 중순 정부 합동조사단이 독도 정밀 현장조사까지 마무리했다. 정부 발전시설 건립계획에 따르면 30㎾급 풍력발전기 2기는 독도 선착장에 50㎾급 태양광 발전기는 경비대 청사 옥상 등 4곳에 설치된다. 순수 국산설비로 만들어지는 친환경 발전시설이 설치되면 1950년대 독도 동도 정상에 건립된 화력발전기는 비상용으로 남게 된다. 독도에는 현재 경비대원 40명과 독도 등대관리원 3명 민간인 2명 등 모두 45명이 거주하고 있다. 외부 전력을 공급받을 수 없는 독도는 자체 화력발전기에 전적으로 의존해 왔다. 독도에선 지난해 등유 3만L 경유 1만L 등 총 4만L(시가 5760만원)의 유류가 사용됐다. 정부 관계자는 “디젤 발전기는 가동될 때 엄청난 소음과 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며 “이번 사업은 지구온난화 방지에 동참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큰 사업”이라고 말했다. 또 화력발전기는 환경오염과 재해뿐 아니라 기름 저장소 때문에 외부 공격에 취약하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김용범 기자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7 | [인구]아들, 이젠 `없어도 무관 | 관리 | 2009.07.30 | 1677 |
36 | 수도권 인구억제 위해 인구상한제 도입 | 관리 | 2009.07.29 | 1676 |
35 | [농촌]농촌모습을 그린 만화 | 관리 | 2009.07.29 | 1676 |
34 | [지역]지구 언어 2주에 하나씩 사라진다 | 관리 | 2009.07.30 | 1675 |
33 | 2007년 제8회 전국지리올림피아드 수상자 명단 | 관리 | 2009.07.30 | 1675 |
32 | [기후,환경,지형] 빙하 녹으면서 새로운 ‘섬’ 솟아올라, 지구 온난화 영향 | 관리 | 2009.07.30 | 1675 |
» | [지역]독도는 ‘석유 제로’ | 관리 | 2009.07.30 | 1672 |
30 | [지역] 베팅으로 잠 못 드는 마카오의 밤 | 관리 | 2009.07.29 | 1672 |
29 | 행복은 부자순이 아니죠 | 관리 | 2009.07.29 | 1671 |
28 | [영토]북한 만화에서도 "독도는 우리 땅!" | 관리 | 2009.07.30 | 1670 |
27 | [환경, 해양]동해는 ‘온실가스 삼키는 하마’ | 관리 | 2009.07.29 | 1670 |
26 | [영역] “잃어버린 북방영토 한반도 3배 크기… 백두산 위치도 조작됐다” | 관리 | 2009.07.30 | 1669 |
25 | [환경] 한반도가 중국발 오염 방패막이 | 관리 | 2009.07.29 | 1669 |
24 | 해양부에 해양영토 전담 조직 만든다 | 관리 | 2009.07.29 | 1669 |
23 | 국토균형발전과 수도권 규제 | 관리 | 2009.07.29 | 16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