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블로그에 쓴 페이퍼를 옮겨 놓는다. 한국지리 수업을 하며 공업 발달과 근대화를 애기하면 어쩔수 없이 일제시대의 시대적 상황과 그 당시의 발전(?) 상황을 학생들에게 애기를 해야 할 경우가 많다. 이때 어떤 관점에서 어느 정도까지 학생들에게 애기를 해줘야 하나 난감할 경우가 많다. 대부분 식민지근대화론의 허구적인 그리고 반민족적인 점에만 포인트를 두고 간단히 언급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다. 그런데 이것도 어찌보면 공정치 못하다는 생각이다.  허수열 교수의 <일제초기 조선의 농업>은 이런 상황에서 아주 좋은 참고서가 될 듯 하다. 그러나, 아주 어려운 참고도서가 될 듯 하다. 이게 좀 어려우면 같은 저자의 2005년 <개발 없는 개발>를 읽는게 도움 될 듯 하다. 부제가 아주 명쾌하다.  '일제하 조선경제 개발의 현상과 본질' 방학때 시간내어 한 번 읽어보시길.

 

--------------------------------------------------------------------------------------------------------------------------------------------------------

 

블로그 주소 : http://blog.aladin.co.kr/hh418

 

요즘 하도 게을러져서 블로그에 글 쓰는 것도 한동안 뜸했다. 12월에 본 서울시향의 말러 교향곡 8.9번 그리고 베토벤 교향곡 9번에 대한 후기도 메모만 해놓고 페이퍼 작성도 못했다. 솔직히 그렇게 바쁘지도 않고 더구나 요즘 방학기간이어서 시간도 얼마든지 충분하지만 늘어지는 요즘이다. 한동안 늘어졌으니 이제는 기운 좀 차려야겠다.

 

오늘자 신문에서 본 기사 하나 스크랩한다. 식민지근대화론에 대한 실증적 비판서이다. 그런데 책의 저자가 식민지근대화론의 선두주자라 불리는 서울대 경제학과 이영훈 교수가 주축이 되어 만든 낙성대경제연구소 출신이라는 것도 재미있는 사실이다. 같은 저자의 2005년에 나온 <개발 없는 개발>을 먼저 읽는게 도움이 될 듯 하다. 경제사학의 관점에서 '식민지 개발, 근대화론'의 논리적 허구성을 파헤친 책이니 수업 시간 학생들에게 역사적 배경을 설명하는 때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한겨레신문 2012.1.4  식민지근대화론 ‘실증적’으로 비판하다

 

`일제 초기 조선의 농업’ 출간
김제·만경평야 기존 연구 등
농업개발론 실증 비판 초점
개발론·수탈론 치우침없이
‘구조론’ 통해 사실 규명 집중


 » 2007년 이영훈 서울대 교수는 조정래 작가가 쓴 소설 <아리랑>에 묘사된 전북 김제·만경평야가 1904년 당시엔 바닷물이 수시로 들어오는 갯벌이었으며, 일본인들에 의해 농업이 가능한 지역으로 개발됐다는 주장을 폈다. 이에 대해 허수열 충남대 교수는 “당시 김제·만경평야는 갯벌이 아니고, 다양한 수로가 만들어져 있는 등 농업이 이뤄지고 있었다”며 “실증적 연구를 철저하게 펴지 못한 식민지근대화론의 오류”라고 주장한다. 한길사 제공

 

기사 원문 http://www.hani.co.kr/arti/culture/religion/513209.html

XE Login